본문 바로가기
  • Pinder 경제적 자유를 찾아서
UNP(유니언 퍼시픽)에 대해 알아보자 Union pacific(유니언 퍼시픽)은 어떤 기업? Union Pacific(이하 UNP)은 미국의 주요 운송업체입니다. 음.. 좀더 제대로 설명하면, UNP(유니언 퍼시픽)은 철도회사로 잘 알려진 유니언퍼시픽철도(Union Pacific Rialroad) 사업 부문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최대의 철도회사입니다. 1862년 설립된 UNP(유니언 퍼시픽)의 영업거리는 5만km가 넘어서, 어지간한 국가의 철도보다 길어요 Union Pacific(UNP)의 Union Pacific Railroad는 미국의 23개 주를 연결하고 있고, 서부를 중심으로 미 전역의 2/3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글로벌 공급체인의 역할을 하는 기업입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미.. 2020. 9. 13.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시장의 특징과 미래 금융탐구 돈이 되고 돈을 만드는 이야기 investment3.tistory.com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의 뜻과 장점 EMS의 뜻 자체는 전자제품 생산 서비스라는 뜻으로 영어로는 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의줄임말입니다. 외주생산 방식의 일종으로 신제품 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업이 설비투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방식입니다. 부품 조달과 조립 그리고 서비스 등 저부가가치 부분은 위탁하고, 위탁자 본인은 제품 개발 등 자원을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외주생산 방식으로 흥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이 있는데, 바로 애플(Apple)입니다. 애플의 아이폰에는 “Designed by Apple in Cal.. 2020. 9. 6.
세계 전자제품을 가장 많이 위탁생산하는 Foxconn(홍하이정밀공업) 혼하이 프리시즌 인더스트리즈, 홍하이정밀공업은 Foxconn Hon Hai?? 혼하이 프리시즌?? 코드는 2317인데, 대만증시에서 시가총액 2위를 차지하는 그리고 생소한 이 기업의 정체는 뭘까요. 바로 그 유명한 Foxconn(폭스콘)입니다. 1974년 고급 전자제품의 OEM을 위해 탄생한 Foxconn(폭스콘)은 혼하이정밀공업의 자회사이자 상표입니다. 그리고 폭스콘의 EMS 시장점유율은 2019년 기준으로 무려 41%입니다 41%면 2개 기업이 경쟁하는게 아니고서야 사실상 1위라고 할 수 있는데요. 폭스콘이 힘을 발휘하고 있는 EMS 시장은 무슨 시장을 의미할까요?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시장의 특징과 미래 EMS(Electronic Manufacturing.. 2020. 9. 6.
애플에게 푹 기대고 있는 OEM업체 페가트론 페가트론은 저가형 아이폰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유명한 애플의 협력업체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싶어 “페가트론”을 검색했더니 세상에. 고작..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기업이라고 위키백과에 딸랑 한 줄 있네요. 참고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은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애플이 아이폰을 만들어 달라고 외주를 주면, 그대로 만들어주는 거죠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회사 홈페이지에 접속했습니다. “Welcom”이라고 달아두고 격하게 중국어로 환영해주네요. 번체자라서 읽기 어려운 관계로 언어를 영어로 바꿔줬습니다. 2007년에 설립되서 2010년에 상장을 했네요. 자본은 261.4억 대만달러입니다. 진짜 달러로는 8.9억 달러에요 페가트론이.. 2020. 9. 6.
코로나도 피해가는 중국의 LCC(저비용항공사) 춘추항공 늦은 만큼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의 LCC(저비용항공사) 시장 LCC(저비용항공사)가 아시아에 등장한 것은 북미나 유럽 지역 대비해서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이었습니다. 유럽이나 북미에서 LCC가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을 때, 아시아에는 고작 2개의 LCC(저비용항공사)만 존재하고 있었대요 그러나, 일단 한번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하자, 아시아 지역 항공편 유효좌석의 30%는 LCC(저비용항공사)가 담당하게 됩니다. 물론, 전통 항공사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이 증가했죠. 특히나, CAPA(Center for Asia Pacific Aviation)은 중국의 LCC 시장이 앞으로도 더 성장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아시아 지역의 LCC 침투율을 거의 0%에서 14%로.. 2020. 9. 6.
LCC(저비용 항공사)의 과거와 코로나19 그리고 미래 LCC(저비용항공사)의 시장점유율은 증가한다!(했었다..?) LCC의 미래를 이야기하기 전에 LCC의 과거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어요! 굳이 끄적끄적하지 않아도 아시겠지만, 글로벌 LCC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코로나 전 이야기)2019년 기준으로 100개의 LCC업체가 항공편을 운항 중이었고, 세계적으로 6,000개가 넘는 항공기가 LCC용으로 운용되고 있었습니다 2009년과 비교해서 큰 성장이에요! 2009년에는 2,900대의 항공기가 LCC용 서비스로 날아다녔는데, 거의 2배가 증가했어요. 유효좌석도 2배 가까이 늘었다는데… 2018년에 17억 유효좌석을 공급했대요. 유효좌석은 항공사가 공급할 수 있는 좌석인데, 공장으로 따지면 생산능력(CAPA)라고 보면 됩니다 2018년 .. 2020. 8. 30.
미국 항공사 Southwest(사우스웨스트)는 특별하다 LCC(Low cost carrier)와 FSC(Full service carrier)의 차이 LCC(Low-cost carrier)는 FSC(Full service carrier)와는 다르게 저가의 항공 티켓 제공이 가능합니다. 그럼, LCC는 어떻게 돈을 벌까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FSC 항공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추가 수수료를 받고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수화물 체크와 기내식 및 음료를 제공받으려면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주요도시공항보다 저렴한 2차공항에서 운영을 통해 운영비를 절감합니다 LCC(저비용 항공사)의 선전 LCC(저비용 항공사)는 지난 10년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9년 전 세계 항공시장의 좌석에서 LCC.. 2020. 8. 23.
Boeing(보잉)과 Airbus(에어버스) 소형기(Narrow-body) 시장의 주도권을 잡아라 크기에 따른 항공기 구분 두 항공기 제조사를 비교하기 전에, 항공기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항공기는 크게 3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먼저, 소형기에 해당하는 Narrow-body가 있고, 중형기에 해당하는 Wide-body 그리고 대형항공기 Jumbo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형항공기의 경우 복도가 2개이며, 소형항공기의 경우는 복도가 하나입니다. Jumbo의 경우는 복도가 2개에 층도 2개로 크기가 매우 큽니다. 크기에 따라 최대로 운항 가능한 거리도 다른데, 중형기는 14,000km까지 운항이 가능하고 소형기는 5,000km까지 운항이 가능합니다. 5,000km는 5시간 거리이며, 단거리 노선에 해당됩니다 Boeing(보잉)과 Airbus(에어버스)의 비행기 비교 두 기업은 세계 항공기 .. 2020. 8. 22.
보잉(Boeing)은 빛나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을까 2018년은 Boeig(보잉)에게 어느때보다 희망찬 해였습니다 2018년 한 해 총 806대를 인도했으며, 893대에 달하는 1,437억 달러 규모의 신규 주문을 받았습니다. 당시 Boeing(보잉)의 737-Max 기종은 2018년 한 해에만 675대의 주문을 달성하며, 총 주문량이 5,000대를 넘어갔습니다. 특히나, 787 Dreamliner는 이중통로 항공기 중에서 가장 빠르게 판매고가 증가하며, 항공기 판매 기록을 갱신했습니다 Boeing(보잉)의 CEO와 임원들은 향후 상용기의 세계적 수요가 20년 안에 두배로 증가할 것이고, Boeing(보잉)이 787 Dreamliner와 737 Max 기종을 통해 세계상용기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자부했습니다. 또한, 당시 연간 생산량의 7배가 달하는 수.. 2020.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