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inder 경제적 자유를 찾아서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경제 이야기

[경제지표 이야기] 글로벌 경제가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들

by Impinder 2020. 9. 30.
728x90

지난 포스팅에서는 세계 경제 중에서 가장 중요한 미국 경제의 GDPGDP 발표 전에 미리 예상치를 찾아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경제지표 이야기] 미국의 GDP를 미리 알아보는 방법, GDPNow

귀찮을 수 있지만,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하는 것은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뉴스에서 매일매일 정치적 사회적 이슈가 여기저기서 발생한 이슈를 관심을 갖고 지켜

ekpider.tistory.com

미국 경제를 추적하는 방법을 알았다면, 이제는 더 큰 그림인 세계를 한눈에 볼 차례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글로벌 경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경제 데이터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냥 뉴스의 보도를 보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있겠지만, 뉴스는 기자의 시각이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뉴스 기사와 따로 찾아보는 데이터는 사뭇 느낌이 다릅니다.


미래의 경기를 예측한다. OECD 경기선행지수

OECD 경기선행지수는 국가별로 6~9개월 뒤의 경기를 예상하는 지수입니다. OECD 경기선행지수의 재미있는 점은 이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항목이 국가별로 다르다는 점이고, 주가지수도 선행지수에 영향을 준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OECD 경기선행지수는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차, 수출입물가비율 등 6가지가 활용됩니다.

 

 

Composite Leading Indicators (MEI)

 

stats.oecd.org

위에 링크를 들어가시면, 국가별 그리고 지역별 OECD 경기선행지수의 테이블을 볼 수 있습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매월 발표되는데, 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은 성장을, 이하는 후퇴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전월 대비 증감을 통해 현재가 확장 국면인지 수축 국면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5월부터 지금까지 경기선행지수는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100 이하입니다. 그리고 상승폭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은 OECD 전체 기준으로 회복이 둔화되는 국면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는 Markit PMI 지수

IHS Markit에서는 국가별로 구매관리자를 대상으로 매월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합니다. 50이 기준선으로 50 이상은 확장을, 50 밑은 경기의 수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매월 글로벌 PMI 지수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고,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지난 데이터와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9월 유로존 종합 PMI50.1 3개월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PMI Releases

To receive underlying PMI data, please contact economics@ihsmarkit.com. Release times are shown in UTC.

www.markiteconomics.com

Markit PMI는 크게 제조업 PMI와 서비스업 PMI로 나뉩니다. 서비스업에 의존하는 국가가 많은 유로존의 경우 서비스업 PMI가 개선되어야 경제도 살아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9월 유로존의 제조업 PMI와 서비스업 PMI는 각각 53.747.6을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유럽의 경기는 여전히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과 중국의 경우 PMI 지수가 2번 나누어 발표됩니다. 중국의 경우 국가통계국(NBS)가 발표하는 PMI Caxin(차이신)이라는 이름의 PMI를 발표됩니다. Caxin(차이신)의 경우 중소형 기업을, 국가통계국은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을 대변합니다. 미국은 MarkitISM 지수 두 가지가 있는데, 자산시장에서는 ISM 지수를 더 주목합니다.

 

IMF 세계경제전망 (World Economic Outlook), WEO

IMF에서는 1년에 4번 국가와 지역별 주요 경제지표를 한번에 비교 가능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합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 현황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보수적인 관점을 제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여줍니다.

 

IMF 세계경제전망은 1월과 4, 7월 그리고 10월에 발표되는데, 4월과 10월 전망에는 전체 국가에 대한 전망이 포함되고 1월과 7월에는 주요국에 대한 경제 전망이 포함됩니다. 6월 말에 발표된 레포트에서 IMF2020년 경제 성장률이 이전 전망보다 1.9% 하락한 -4.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4월에는 2020-3.0%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경제가 더 나락으로 빠지는 것 같습니다 ㅠ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

IMF를 제외하고도 세계 경제와 관련된 경제지표를 발표하는 곳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OECD의 경우는 한눈에 보기 쉽게 한 장의 그래프로 경제전망을 정리했습니다. World Bank에서는 레포트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OECD:  http://oecd.org/economic-outlook

World Bank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global-economic-prospects


오늘은 글로벌 경제를 살펴보는 기초적인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다음에는 경제지표를 볼 때 주목해야 하는 미국의 고용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지표 이야기] 미국의 고용 상황을 알아보는 3가지 방법

미국의 고용이 중요한 이유 우리는 미국이 강대국이라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얼마나 강대국일까요? 경제적 의미에서 미국이 갖는 위상은 24.42%입니다. howmuch에서는 매년 전 �

ekpider.tistory.com

# 현대차증권의 “경제지표 All-In-One 투자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분석 기초과정” 레포트를 참고해 재작성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