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1년 내내 우리 투자자들을 울렸던 삼성전자... 최근 주가가 조금 상승해 관심있게 보는 중에 즐겨보는 유튜브에서 반도체 애널리스트 노근창 센터장님이 나오셨다. 방송에서 삼성전자 중심으로 설명을 해주셔서 한번 요약해봤다. 그리고 마이크론테크놀로지(MU)가 FY22 1분기(9~11월) 실적도 발표해서 아래 링크에 요약해봤다.
전망 기관들의 차이나는 전망
Dram Exchange(트렌드포스)는 DRAM 가격의 4분기 5~10% 하락 추정했는데, 11월 10일 IC Insight에서 4분기 1% 빠진다고 전망했다. 내년 1분기 가격도 하락하고 있지만, 예상보다 덜 빠지고 있고 2분기부터는 가격 하락폭이 더 축소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참고로 메모리 업체들의 주가는 DRAM 가격 하락폭이 줄어들 더 좋다고 한다.
파운드리 사업부가 좋아진다
지금 TSMC와 삼성전자 모두 파운드리 가동률 100% 수준이다. 사실 다른 작은 업체들도 상황은 마찬가지. 게다가 삼성전자와 TSMC 모두 평균 판매가격을 최소 15% 인상했다. 요즘처럼 가동률이 높을 때는 웨이퍼당 비싼 제품을 위주로 받기 때문에 수익성이 좋아진다고 한다. 파운드리하면 떠오르는 DB하이텍은 내년 수주를 모두 받은 상황이라고 한다.
게다가 우리가 흔히 아는 8인치 파운드리 제품 중에는 멀티-프로덕트 웨이퍼가 있다고 한다. 멀티-프로덕트 웨이퍼는 하나의 동그란 웨이퍼에 3개 기업이 요구하는 다른 칩을 동시에 만드는 것이다. 하나의 웨이퍼에 여러 제품을 만들어서 마진이 낮은데 요즘은 이런 제품을 받지 않고 있다고 한다.
나중에는 Gate All Around 기술을 활용한 파운드리도 주목받을 것이라고 하셨는데, 당장 수율은 낮을 수 있지만 발전상을 지켜보자(?)는 취지로 이해했다. 기술적인 내용은 밑에 블로그를 참고하면 더 좋을 것 같다.
내년에는 메모리도 좋을 것이다
메모리는 크게 PC(노트북 포함)와 모바일(스마트폰) 그리고 서버로 분류가 된다. PC쪽은 안 좋을 수 있다고 해도 모바일(스마트폰)은 좋을 수 있다. 중국 Vivo에 이미 AP(스마트폰의 뇌, AP는 메모리는 아니지만)를 공급 중이었는데, Oppo나 샤오미가 공급사를 확대하면서 중국 쪽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지금 화웨이 자리 뺏기가 진행 중이다. 중국 스마트폰은 성능이 별로 좋지 않아서 DRAM 탑재량이 많다. DRAM을 탑재하면 스마트폰의 작업이 빠른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도 빨라진다). 트렌드포스는 2022년 DRAM의 기기당 탑재량은 5.1GB에서 5.4GB로 확대했는데, 노근창 연구원님은 보수적이라고 평가하셨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기기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메모리가 탑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애플이 내년에 출시하게 될 증강현실 기기라던가 메타 플랫폼스의 오큘러스는 기기당 카메라 탑재가 증가하면서 필요한 DRAM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각종 센서들이 탑재되면 DRAM 수요는 더더욱 증가한다.
가장 중요한 데이터센터 측면에서도 수요가 좋을 것으로 보신다. 요즘 데이터센터 쪽에서는 "그린 클라우드"가 대세라고 한다. 요즘 어딜가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이슈가 화두이다. 데이터센터에서 친환경을 생각한다면? 할 수 있는 것은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더 좋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 뿐...
내년도 반도체 시장 전망
노근창 센터장님은 내년 반도체 시장이 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셨다. 구체적으로 파운드리 16% 성장하고, 이미지센서 15%, 메모리 8% 중 DRAM 6.9%, 낸드 8% 성장 전망하셨다. 특히, 이미지센서 시스마트폰은 물론이고 자동차나 공장 오피스 보안장비 등에 골고루 탑재되는데, 삼성의 시장점유율은 20% 후반으로 시장 성장의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신다.
* 아래는 반도체 유형별 2021년 Capex 예상치이다.
Chip Capex to Grow 34% in 2021 to Reach Record $152 Billion
Purse strings were wide open this year as worldwide semiconductor capex is on track this year to surge 34% -- its strongest gain since 2017
epsnews.com
대략적으로 정리해봤는데, 아무래도 직접 유튜브를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래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참고로 1편과 2편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ㅎㅎ
* 투자 추천을 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 > 산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강업 주가와 중국의 관계 (0) | 2022.04.28 |
---|---|
항공주는 날아오를까? 2022년 1분기 미국 항공시장 점검과 전망 (0) | 2022.04.15 |
유가 상승과 하락의 7가지 가능성 (0) | 2022.04.09 |
신과함께, 이다솔 차장의 석유화확 밸류체인 자원개발부터 정밀화학까지(1) (0) | 2021.01.07 |
신과함께, 이다솔 차장의 에너지, 소재, 석유화학 이야기 정리하기(2)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