콴타 컴퓨터는 세계적인 컴퓨터 전문 OEM 업체입니다. 글로벌 PC 10대 중에서 3대와 노트북 4대 중 1대가 콴타의 손을 거쳐갑니다. (최근에는 노트북 5대중 1대로 줄어들기는 했는데, 이유는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애플의 맥북도 예외가 아닙니다. 맥북의 80%는 콴타가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콴타 컴퓨터는 1988년 설립됐습니다. 창립자 린바이리는 엄청 똑똑한 사람이었다고 해요. 1971년에 대만 최초로 마이크로컴퓨터를 만들었고 훈장도 받았다고 합니다. (저는 고작해야 상장 정도 받아봤는데 말이에요) 콴타 창립 초기에는 지명도가 낮아서 수주하는데 애를 먹었지만, 사업이 잘 번창하시어 회장님께서는 이제 대만 10대 부호 중 한 명이 되셨다고 해요 ^^
그러나 인생도 그렇듯이 기업도 승승장구만 할 수는 없습니다. 콴타 컴퓨터의 매출은 최근 5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고 1,000십억 대만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매출의 대부분이 컴퓨터 OEM에서 발생하는게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올해 초 재택근무 증가로 데스크탑과 노트북 수요가 증가했습니다만, PC 시장은 구조적으로 역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알 수 있지만, 2012년부터 7년 연속으로 PC 출하량이 감소했네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미래를 찾다
쪼그라드는 PC 시장과 함께 끝날 것 같은 콴타의 이야기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함께 부활을 꿈꾸고 있습니다. 린바이리 회장은 최근 클라우드와 AI 등의 고부가가치 상품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콴타컴퓨터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생산기기 이전의 압박과 더불어 회사의 핵심 영역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회사를 대만 내 생산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라인업은 대부분 자동화되서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만 생산능력을 강화하는게 가능하다고 하네요
2017년 3분기 기준으로 이미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은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콴타 컴퓨터는 콴타 클라우드 테크롤로지라는 자회사도 보유하고 있는데,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또한, 콴타는 구글과 페이스북 그리고 아마존의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래 보이는 그림은 클라우드 업체과 그 ODM 및 OEM 업체의 관계도입니다. 콴타컴퓨터는 경쟁사 Inventec와 함께 가장 많은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네요
콴타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고객은 주로 페이스북과 같은 거대 플랫폼 기업입니다. 하지만, Spotify나 Uber와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기업들도 콴타의 실적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콴타의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은 웨어러블 장치의 판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 수는 없습니다만, 엣지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제 통신사들의 주문도 실적에 기여하고 있다고 하네요
너도 나도 만드는 데이터
2018년 페이스북과 애플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 투요하는 주요 업체들의 CAPEX 투자는 전년 대비 45% 증가했습니다. 바이두와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의 주요 업체들도 관련 설비규모를 전년 대비 24% 증가시켰죠. 이 주요 업체들(페이스북,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바이도, 알리바바, 텐센트, 차이나텔레콤)의 설비투자는 2018년 전체 설비투자의 56%를 차지했습니다. 설비투자 증가 속도가 어마어마한데, 앞으로 얼마나 성장할 지 감이 안 잡히네요
컴퓨터 OEM 사업에서 4차산업 시대에 알맞은 기업으로 변화해가는 콴타컴퓨터의 진화를 관심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아! 그리고 콴타컴퓨터 외에 폭스콘을 비롯한 대표적인 애플의 생산공장들도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애플의 조립공장들에게 불어오는 새로운 변화. 폭스콘, 페가트론, 콴타컴퓨터
애플의 공급망 점검하기 애플은 세계에게 가장 가치있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2020년 4월 기준으로 1조3천억 달러가 넘는 시가총액을 자랑하고, 얼마 전에는 2조달러를 돌파하는 엄청난 기업가치
ekpider.tistory.com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 > 해외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서비스 기업 Baker hughes(베이커휴즈)는 이제 뭘 먹고 살지? (0) | 2021.01.07 |
---|---|
넥스트에라에너지(NEE)는 왜 주목을 받을까? 넥스트에라 에너지리소스 (0) | 2021.01.07 |
UNP(유니언 퍼시픽)의 미래 Unified Plan과 Big data 활용 (0) | 2020.09.13 |
UNP(유니언 퍼시픽)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9.13 |
세계 전자제품을 가장 많이 위탁생산하는 Foxconn(홍하이정밀공업) (0) | 2020.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