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fied Plan 2020
Unified Plan 2020은 2018년 1월 UNP(유니언 퍼시픽)이 발표한 향후 계획입니다. 우리 회사는 앞으로 어떻게 어떻게 하겠다는 말이죠. UNP(유니언 퍼시픽)은 이 성명을 통해 운영의 안정성과 신뢰성 그리고 효율성을 강조합니다. CEO인 Lance Fritz은 현재, 회사가 소비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의 인터뷰를 했네요
UNP(유니언 퍼시픽)은 효율성 증가를 위해, 일반 목적의 열차를 더 많이 도입하고, 차량의 정체 시간을 줄이고 열차의 연료 효율성을 개선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한, 기관차의 물동량보다는 차량의 이동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기관차가 많이 움직여도 거기에 딸리는 차량이 적으면 별로 소용이 없으니, 얼마나 많은 물동량이 발생하는지에 집중하겠다는 말인 것 같네요.
Unified Plan 2020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PSR(Precision Scheduled Railroading)을 제안합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이 혼자 특별히 제안한 개념은 아니고, 이미 일류 철도회사에는 일반적인 개념인데요. PSR의 목표는 같은 양의 화물을 더 적은 열차와 효율화된 선로를 통해 옮기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Point-to-Point 운송 개념을 도입하여 선로의 재조정없이 출발지점에서 목표지점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합니다. 그렇게, 기차 평균 속도를 높이고, 정류장에서의 체류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PSR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에 열차가 도착했을 때 화물이 준비가 안됐다면, 화물은 남겨지게 됩니다. 열차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로 이동해야 하니까요
투자의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UNP(유니언 퍼시픽)이 Operating ratio를 2020년까지 60% 수준으로 낮추고, 장기적으로는55%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는 점입니다. Operating ratio는 영업비용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Operating ratio가 낮을수록 효율적인 경영이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비용을 줄여주는 데이터 활용
미국 철도산업의 구조적 성장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미국 국토를 더 확장할 수 도 없고(전쟁을 한다면 가능하겠네요), 이미 확충된 철도 인프라에 추가로 더 많은 노선을 신설하기도 애매합니다. 결국 수익이 증가하면 비용을 통제해야 하는데, UNP(유니언 퍼시픽)은 데이터를 활용한 비용 효율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2013년 UNP(유니언 퍼시픽)은 빅데이터를 경영에 도입하게 됩니다. 초기의 목적은 기차의 탈선을 줄이려는 목적이었습니다. 탈선이 꼭 큰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작은 사건으로도 운송에 지연이 발생하고 사업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은 온도와 습도 그리고 센서 등을 활용해 예측기법을 활용해 최대 몇 주 전에 탈선 가능성을 예상했습니다. 또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철로를 따라 광통신을 설치하게 됩니다. 이렇게 철도 베어링 관련 탈선의 75%가 줄어들었다고 하네요
매일매일 목적지가 다른 화물과 시시각각 변하는 날씨와 계획에 없던 유지보수 일정이 발생한다고 생각해보세요. UNP(유니언 퍼시픽)이 고용한 2,000명의 IT 직원들과 실시간 데이터 분석은 이런 변화에 대응하는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덕분에 운송 화물량이 증가하는데도 큰 도움이 됐다고 하네요
지금도 UNP(유니언 퍼시픽)의 데이터 활용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은) 매일 센서 데이터를 통해 2,000만 개의 신호를 확인하는데, 평균적으로 매일 1,500개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한, 열차 결함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화 자료도 사용합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이 구축한 시스템에서 멀리서 70마일의 속도로 다가오는 스캔합니다. 1초당 50,000개의 사진을 찍고 하나의 3D 이미지로 구현해 낸다고 합니다
“철도 산업에 볼 게 뭐가 더 있겠어”라고 생각했는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 데이터 혁신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UNP(유니언 퍼시픽)에 대해 알아보자
Union pacific(유니언 퍼시픽)은 어떤 기업? Union Pacific(이하 UNP)은 미국의 주요 운송업체입니다. 음.. 좀더 제대로 설명하면, UNP(유니언 퍼시픽)은 철도회사로 잘 알려진 유니언퍼시픽철도(Union Pacific
ekpider.tistory.com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 > 해외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스트에라에너지(NEE)는 왜 주목을 받을까? 넥스트에라 에너지리소스 (0) | 2021.01.07 |
---|---|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콴타컴퓨터 (0) | 2020.09.20 |
UNP(유니언 퍼시픽)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9.13 |
세계 전자제품을 가장 많이 위탁생산하는 Foxconn(홍하이정밀공업) (0) | 2020.09.06 |
애플에게 푹 기대고 있는 OEM업체 페가트론 (0) | 2020.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