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에 따른 항공기 구분
두 항공기 제조사를 비교하기 전에, 항공기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항공기는 크게 3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먼저, 소형기에 해당하는 Narrow-body가 있고, 중형기에 해당하는 Wide-body 그리고 대형항공기 Jumbo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형항공기의 경우 복도가 2개이며, 소형항공기의 경우는 복도가 하나입니다. Jumbo의 경우는 복도가 2개에 층도 2개로 크기가 매우 큽니다. 크기에 따라 최대로 운항 가능한 거리도 다른데, 중형기는 14,000km까지 운항이 가능하고 소형기는 5,000km까지 운항이 가능합니다. 5,000km는 5시간 거리이며, 단거리 노선에 해당됩니다
Boeing(보잉)과 Airbus(에어버스)의 비행기 비교
두 기업은 세계 항공기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Airbus(에어버스) 시리즈는 A3으로 표기되며 Boeing(보잉)은 B7으로 표기됩니다. 예전에는 중장거리 노선 위주의 항공 수요가 많았습니다. A350는 Airbus(에어버스)의 대표적인 중형기 모델로 2019년에 112대를 수주했습니다. 787 시리즈는 Boeing(보잉)의 대표적인 중형기 모델인데 2019년데 74대를 수주했습니다.
협동체(Narrow-body) 경쟁의 심화, 단거리 노선 위조로 성장하는 항공산업
코로나19 이전에 나온 데이터지만, 항공산업은 단거리 노선 위주의 성장이 예상됐었습니다. 2018년 소형기(Narrow-body) 시장은 전체 항공산업의 45%를 차지했는데, 2028년에는 2018년 대비 276억 증가한 626억 달러의 시장 규모로 전체 시장의 55%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또한, 소형기(Narrow-body) 시장은 항공 산업 내 다른 분야 대비 빠른 성장이 예상됐는데, 2018년부터 2023년까지는 4.7%의 성장을 그리고 2023년부터 2028년까지는 연평균 7.3% 성장할 것으로 기대됐었습니다. Wide-body로 표현되는 중장거리 노선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었습니다. 소형기 시장이 성장하면서, Airbus(에어버스)와 Boeing(보잉)의 경쟁도 불이 붙었습니다.
소형기(협동체) 경쟁
1967년부터 생산된 B737 시리즈는 Boeing(보잉)이 소형기 시장을 겨냥해 제작한 대표적인 모델입니다. (처음 출시됐을 때, 별명은 ‘아기보잉’이었습니다) 민간 상용기 역사상 가장 많은 판매 대수를 기록했습니다
Airbus(에어버스)가 B737에 대항해 A320모델을 출시했습니다. 당시 A320시리즈는 최첨단 항공기술의 집합체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B737을 앞서갔습니다. 그리고 운항의 경제성과 자유로운 기내 구성의 장점을 토대로 시장점유율이 확보에 성공했습니다
Boeing(보잉)은 Airbus(에어버스)에 대항하기 위해, B737 NG를 출시합니다. B737 NG는 신형 날개를 부착했으며, 항공전자기기 및 엔진이 교체됐습니다. 설계비용도 약 1/3이 줄어들었으며, 중량도 이전보다 감소했습니다. 덕분에 연료소비가 감소하고 비행 효율이 증가했습니다
두 기업의 소형기 경쟁은 A320neo와 737 Max 시리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737 Max가 20111년 8월 발표되기 전까지 A320neo에 소형기 수주가 몰렸습니다. A320neo는 기존 모델 대비 최대 20%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고, 연료 효율은 16% 개선됐습니다. A320neo는 2016년, 가장 항공산업 역사상 가장 빨리 팔린 상용기가 됐고 2016년 1월 처음으로 생산 후 인도에 성공했습니다
2006년 Boeing(보잉)은 기존의 737 모델을 대체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지만, 2011년까지 이렇다할 결정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더는 Airbus(에어버스)와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 없었던 Boeing(보잉)은 2011년 737 Max 프로젝트를 개발하게 됐고, 2016년 1월 첫 인도에 성공합니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Boeing(보잉)은 2030년에 기존의 737 모델을 대체할 새로운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었습니다
두 기업 사이의 경쟁은 주로 엔진의 연료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 방향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두번의 737 Max 8 기종 추락과 코로나19 사태 발생으로 지금은 Airbus(에어버스)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했습니다. 하지만, 영원한 것이 있을까요? 향후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다시 지켜봐야겠습니다
보잉(Boeing)은 빛나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을까
2018년은 Boeig(보잉)에게 어느때보다 희망찬 해였습니다 2018년 한 해 총 806대를 인도했으며, 893대에 달하는 1,437억 달러 규모의 신규 주문을 받았습니다. 당시 Boeing(보잉)의 737-Max 기종은 2018년 한 �
ekpider.tistory.com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 > 해외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C(저비용 항공사)의 과거와 코로나19 그리고 미래 (0) | 2020.08.30 |
---|---|
미국 항공사 Southwest(사우스웨스트)는 특별하다 (0) | 2020.08.23 |
보잉(Boeing)은 빛나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을까 (0) | 2020.08.22 |
Lockheed Martin(록히드마틴)의 우주로켓(ULA) 그리고 SpaceX(스페이스X) (0) | 2020.08.15 |
100대를 버리고 470대를 얻은 Lockheed Martin(록히드마틴) (0) | 2020.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