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inder 경제적 자유를 찾아서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경제 이야기

[경제지표 이야기] 미국 중산층 자산의 60%를 차지하는 부동산

by Impinder 2020. 9. 30.
728x90

미국의 부동산 데이터에 관심을 갖는 이유, 중산층 자산의 60%를 차지한다

구글링하다 발견한 2019년에 보고서입니다. 1989년이나 2016년이나 미국 가구의 자산 중 30~40%가 주거용 부동산이네요. 어느 시대에 태어나건 주거는 꼭 해결해야 할 숙명과 같은 존재인가 봅니다. 그리고 연금소득과 유가증권이 합쳐서 35% 수준이군요. 미국은 연금이 주식에 투자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자산시장이 건강해야 미국인들의 몸과 정신이 건강하겠네요.

자산 규모별로 살펴보니, 중산층일수록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습니다. 거의 60%가까이 차지하네요. 그래서 미국의 부동산 시장 동향을 중요하게 모니터링하는구나 싶습니다. 돈이 10배 많다고 위장도 10배 많은 게 아니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유지해 중산층이 적절하게 자산 규모를 유지하고 꾸준히 소비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가 돌아갈 수 있나봐요.

 

또한, 부동산시장이 활발해지면, 건설업체들이 융자를 받아 부지를 구입하고 원자재와 소비재를 추가로 구입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택 시장이 활성화되면, 금융부터 소비재까지 종합적인 경기 흐름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NAHB 주택시장지수

NAHB 주택시장지수는 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시장의 경기를 숫자로 표현한 지표입니다. 미국주택건설업협회와 금융사인 웰스파고가 현재와 미래 주택건설 동향을 취합해 발표하는 데이터입니다. 매달 회원사에 설문조사를 하는데, 신규주택 판매가 어떤지, 향후 6개월 주택 판매가 어떻게 전망되는지, 신규주택부지를 방문하는 예상 주택구매자 수를 조사해 59%, 14%, 27% 가중치를 두고 산출한다고 합니다.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50을 넘어가면 경기가 좋다는 뜻이고 50 밑이면 안 좋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20203월 코로나 19 사태로 이 지수는 30까지 하락했는데요,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와 비교하면 그렇게 나쁜 수치는 아니네요. 200812월에는 9까지 하락하였습니다.

 

Housing Economics - NAHB

Housing’s Economic Impact Housing impacts local economies. See estimates of the jobs, income, and taxes generated from typical single family and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These reports can be customized for your area.

www.nahb.org

여기서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Data at a Glance에서 NAHB/Wells Fargo Housing Market Index (HMI) 메뉴가 보입니다.

주택착공과 허가건수

매월 셋째주 발표되는 지표로, 주택과 관련된 데이터인데 인구통계국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건축허가가 증가한다는 말은 향후 부동산 시장이 활발해진다는 뜻이고, 고용부터 소비까지 여러 분야에 걸쳐 경기가 개선된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20208월 건축허가는 1,470천 건으로 전월 대비 0.9% 정도 감소했습니다. 주택착공은 전월 대비 5.1% 감소했는데 지난 4월 이후로 급속도로 개선되던 경기흐름이 다시 둔화 국면을 맞이하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게 만듭니다

 

https://www.census.gov/construction/nrc/index.html

 

주택착공 및 허가건수 외에도 신규주택판매라던가 기존주택판매 데이터가 있지만, 매월 넷째주에 발표되기 때문에 다른 지표와 비교할 때 선행성이 낮습니다. 발표됐을 때, "흠.. 이렇게 진행되고 있구나" 정도의 반응입니다. 그래서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비교적 적습니다.


오늘은 미국 경제에서 부동산시장이 중요한 이유와 부동산시장을 예상할 수 있는, 맥박이 얼마나 잘 뛰는지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미국의 생산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현대차증권의 “경제지표 All-In-One 투자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분석 기초과정” 레포트를 참고해 재작성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