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inder 경제적 자유를 찾아서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국내주식 이야기

엠투아이, 공장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수혜주?

by Impinder 2021. 1. 7.
728x90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BTS에 교촌치킨까지 쟁쟁한 기업들이 상장하며 공모시장을 달군 2020년. 이 녀석들을 피해(?) 소리소문 없이 조용히 상장한 엠투아이라는 기업이 있습니다. 엠투아이는 어떤 종목일까요?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고객으로 둔 장비업체들을 고객으로 둔 기업입니다. (하청의 하청인가?) 그리고 휴먼 앤 머신 인터페이스(HMI), SCADA(원격 감시제이 및 데이터 수입),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스마트 제어 시스템에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2019년 매출액은 247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스마트 제어 시스템이란?

스마트 제어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엠투아이는 휴먼 앤 머신 인터페이스(HMI)를 주력으로 제조합니다. 스마트HMI는 한마디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공장을 많이 만들면 만들수록 좋겠네요. 


공장을 자동화하면 당연하게도 비용이 절감됩니다. 키움증권에서는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시장이 2022년까지 연평균 9.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동종기업 4곳의 평균 PER이 22배로 집계됐다면, 2020년 순이익이 107억원일 때 시가총액은 2,200억은 되어야 합니다. 11/23일 오늘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1300억 원입니다. 


동종기업이 있기는 하지만, 기업의 실질적인 경쟁사가 프랑스의 슈나이더일렉트릭 뿐이라는데… 그러면 경제적 해자도 어느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100% 다 믿을 수는 없지만) 동사의 시스템이 타사 대비 우월하다고 하네요. 아래의 그림처럼
 


휴먼 앤 머신 인터페이스(HMI)시장의 성장에 대해서는 다양한 전망이 있다

음.. 그런데 키움에서 너무 좋게 봤나? 아래의 그림을 보면 HMI 시장이 연평균 5.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네요. 보수적으로 5.2% 성장을 가정할 때 2021년과 2022년의 순이익은 113억과 118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적정 주가는 2600억원인데, 기대수익률이 100%라면 괜찮은 투자가 아닐까요. 키움증권의 예상대로라면 2800억원의 시가총액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요?

 
적용 가능한 전방산업이 매우 다양한다. 사실상 거의 다...

물론 대표의 말이지만, 리쇼어링과 코로나19사태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적용 가능한 사업 분야가 다양합니다. 지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납품하는 장비업체들이 주 타겟이지만,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2차전지 관련 기업에도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지금 전방산업이 살아나고 있느냐 입니다. 개별 기업 하나하나 투자사이클을 예상할 수 는 없지만, 거시 경제지표로 미루어보면 글로벌 경기가 침체기를 벗어나 회복세로 돌아서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아무리 코로나가 심해진다고 해도 다시 모든 경기활동을 멈추기는 쉽지 않습니다. 

 

 

네패스, 반도체 패키징 강자의 2가지 미래

네패스 주가차트를 보니 참 이쁘네요. 그래서 무슨 기업인지 한번 알아봤습니다. 네패스는 첨단 패키징 기술로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네패스는 웨이퍼 레벨 패키

pinderpinder.xyz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팁으로 광고 한번만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이 글은 투자추천이 아닙니다. 매수매도의 근거가 될 수 없고, 손실을 보장해드릴 수 도 없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