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FY22 1분기(9~11월) 실적을 발표했다. EPS는 2.16달러로 컨센서스 2.11달러를 넘었고, 매출은 YoY 33% 증가해 76.9억 달러를 기록했다. 사실 1분기 실적은 크게 컨센서스를 벗어나지 않아서 시간 외 6% 상승할 정도인가 싶지만 비밀은 가이던스에 있다.
상승의 비밀은 가이던스 상향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75억 달러인데, 컨센서스 72.7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다. 이번 분기에 데이터 센터와 완성차 부문 매출이 각각 70%와 25% 증가했는데, 탄탄한 수요를 반증한다. 여기에 비메모리 반도체 부족 사태가 완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2022년에 서서히 부족 사태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반도체 부족 사태가 완화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반도체 공급이 많아지니까 가격이 하락할까? 꼭 그렇지 않다. 하나의 전자기기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여럿이 필요하다. 반도체 한 제품만 없어도 전자기기를 만들 수 없다. 아이러니하게 반도체 부족은 반도체 재고 증가를 유발한다. 반도체 부족 사태가 완화되면 재고도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실제로 휴렛 패커드(HPQ)의 재고 감소가 확인되고 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시장 전망
근본적인 수요는 바뀌지 않는다. 우리는 지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고, 5G와 AI 그리고 자율주행 등등 더 많은 반도체를 필요로하는 산업들이 지금도 한단계씩 실질적 발전을 이루어가고 있다. 동사 실적이 나올 때마다 재밌게 보는 부분은 "Market Outlook"이다.
2022년 수요와 공급 Bit Growth의 경우 DRAM과 NAND 각각 10% 후반대와 30% 수준의 전년 대비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짧은 영어로 쭉쭉 읽어보면, 데이터센터와 5G 스마트폰 그리고 자동차 산 등이 잠재적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 메모리와 Storage 부문이 지난 20년간 반도체 산업 전체보다 빠르게 성장했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밸류에이션?
업황의 등락이 심해서 12개월 선행 PBR을 보면(미래에셋 HTS에서 볼 수 있다) 최대 2.15배에서 최소 1.5배 수준이다. 21년 12월 20일 기준으로 1.74배였는데 시간 외 상승한 것을 반영하면 1.84배 정도 될 것 같다.
끝으로 즐겨보는 유튜브에 반도체 애널리스트분이 나오셔서 친절(?)한 설명을 해주셔서 정리해봤다
*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에 대한 결과는 본인 책임입니다.
728x90
'자산을 지키는 이야기 > 해외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주가가 하락하는 진짜 이유 4가지 (0) | 2022.04.29 |
---|---|
룰루레몬(LULU) 2021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다 (0) | 2022.03.30 |
화이자의 주가와 실적 그리고 전망 (0) | 2021.12.17 |
핀터레스트(Pinterest),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위협하는 SNS (0) | 2021.01.07 |
유전서비스 기업 Baker hughes(베이커휴즈)는 이제 뭘 먹고 살지? (0) | 2021.01.07 |
댓글